무협, 독일 기업사례 분석…제조업 혁신, 기업 파트너십에서 찾아야

[와이즈경제=최예리 기자] 플랫폼 기반의 네트워크로 중소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 독일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이 성숙단계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일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지원 플랫폼 ‘인더스트리4.0(www.plattform-i40.de)’에 등록된 360건의 활용사례를 분석한 ‘독일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모델 성숙도를 ‘연구개발’, ‘실증’, ‘시장 도입 및 파일럿’, ‘시장 성숙’ 네 단계로 분석한 결과 ‘시장성숙’ 사례가 51%로 가장 많았다. ‘시장 도입 및 파일럿’(20%), ‘실증’(16%), ‘연구개발’(13%)이 뒤를 이었다.

또 제품 유형별로는 소프트웨어(SW) 솔루션 및 자동화 부품 기업 사례가 전체의 70%나 돼 4차 산업혁명을 공장 자동화와 연계된 클라우드 네트워크화로 인식했었다. 

적용분야는 서비스와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분야가 15~23%에 그친 반면 생산 공급망 사례가 40% 내외로 가장 많았다. 

보고서는 독일의 4차 산업혁명은 인더스트리4.0 플랫폼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소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인더스트리4.0에 등록된 업체 사례 중 종업원 250명 이하 중소기업이 전체의 45%에 이를 정도로 참여도가 높았다. 
이들은 전 직원이 참여해 자사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강점분야를 중심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보고서는 특히 독일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비결로 기업간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꼽았다. 
독일 SW 솔루션 업체 소텍은 알루미늄 생산업체 아헨바흐부쉬후에튼그룹과 협력해 생산장비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 사업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국제무역연구원 장현숙 연구위원은 “독일은 플랫폼 기반의 네트워크로 중소기업의 참여를 효과적으로 끌어내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보유한 대·중소기업 협력이 새로운 사업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와이즈경제(Wisee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