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배 받는 국민연금, 기업 인사, 정관, 배당에 영향 가능

한국경제연구원은 정부가 9월 6일 입법예고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자본시장법 시행령)개정안에 대한 반대의견을 담은 정책건의서를 9월27일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고 4일 밝혔다.

금융위원회가 이번에 입법예고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은 공적연기금 등의 기업 경영참여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간 경영참여에 해당하여 단순투자자에게 금지되던 ‘이사에 대한 직무정지, 해임요구, 사전에 공개한 원칙에 따른 투자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정관변경 추진, 배당 관련 활동 등을 공적연기금에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행위에 대해 기존 5일 이내에 금융위 또는 거래소에 보고해야 하는 의무도 월별로 보고할 수 있도록 특례를 부여했다.

여의도금융가/사진=와이즈경제DB
여의도금융가/사진=와이즈경제DB

한경연은 정책건의서를 통해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반대하는 이유로 크게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정부의 기업 경영에 대한 개입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햇다. 이는 국민연금이 정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난다는 점을 들었다. 현행 자본시장법*은 임원의 선·해임 직무의 정지 등을 모두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에서 명시적으로 규정한 ‘임원의 선임, 해임 또는 직무의 정지,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과 관련된 정관의 변경 등’에 대한 예외를 두기 위해서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햇다.

그러나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일부 행위를 ‘일반 투자’로 분류해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행위에서 배제하고 있다. 이는 법률에서 명시적으로 규정한 사항의 예외를 하위법령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하위법령이 상위법령의 위임을 벗어나는 등 법체계적으로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했다.

또, 배당 관련 활동을 경영권에서 배제하는 것은 현실과 괴리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배치된다고 지적햇다.

배당은 기업의 유동성과 직결되어 투자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배당 결정은 기업의 보유 자금 처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과다한 배당 요구는 회사 존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항이다. 배당 관련 활동을 경영권에서 배제하는 것은 기업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고 글로벌 스탠다드와도 맞지 않는다고 밝혓다.

마지막으로 국민연금의 기업경영 개입이 그 때 그 때 달라질 수 있어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증가될 수 있다고 꼽았다. 시행령 개정안은 ‘연기금이 사전 공개한 원칙에 따른 기업 지배구조 개선목적의 정관변경’을 경영참여가 아닌 것으로 본다.

즉, 국민연금이 사전 공개한 ‘원칙’은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국민연금의 판단에 따라 경영 참여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이 ‘사전 공개한 원칙’은 국민연금이 제·개정하는 스튜어드십 코드인데 기존 단순투자자가 큰 부담 없이 실질적인 경영참여를 하게 되는 상황에서 이를 자주 개정할 경우 기업의 예측가능성을 떨어뜨려 경영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경연은 이번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은 국민연금을 통한 정부의 기업경영 개입 가능성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기업의 우려를 높이고 있다고 지적햇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면 단순투자자의 경영참여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언급하면서 “경영참여 확대에 따른 정부의 경영개입 및 경영불확실성 증가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번 시행령 개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와이즈경제(Wisee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